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농경사회의 시작

카테고리 없음

by 세공인 2024. 2. 13. 21:48

본문

반응형

유목생활을 하면서 먹을 것을 찾아 돌아다니던 사람들이 어떻게 농경사회로 정착을 하게 되었을까요?

 

크로마뇽인들은 마지막 빙하기에 살았다고 전해집니다. 이 빙하기는 긴 시간 유지되었으며, 기후가 변화하면서 빙하가 녹기 시작하였고, 오늘날과 유사한 날씨가 형성이 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 중에서도 지중해 동쪽에 있는 해안지역은 기후 조건이 매우 좋았으며, 이 지역이 오늘날에는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나라인 이란이 있는 곳입니다. 사람들은 이곳에서 다양한 식량을 구할 수 있게 되었고, 급기야 식물을 재배하기 시작하면서 동물들도 기르기 시작하였습니다. 다양한 동물들을 가축으로 기르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가축 동물들을 지키기 위한 사냥개나 늑대같은 동물도 곁에 두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때부터 먹을 것을 찾아 떠돌아 다니던 사람들은 본격적으로 정착을 하면서 식량을 재배하고 저장하면서 가축을 키우면서 정착 생활을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러면서 살고 있는 곳이 농경 사회로 발전하게 되었습니다. 

 

 

사람들이 정착을 하기 시작하면서 자신들의 식량과 가축을 보호하기 위해서 집을 짓기 시작하고 울타리를 쳤으며, 자신들의 영역을 점차 만들어 갔으며, 이제 농사를 짓기 시작하면서 농사를 위한 도구들을 발전 시켜 나갔습니다. 이렇게 발전된 도구들을 통해서 농경의 영토를 점점 더 넓혀나가기 시작하였습니다. 이제 식량을 저장하는 방식을 알기 시작하면서부터는 유목생활을 하면서 언제 굶어 죽을지 모르는 두려움에서 벗어나게 되었으며, 식량을 저장할 수 있는 창고를 만들기 시작하였는데, 이때 식량을 훔치는 도둑이 생기기 시작하였고, 다른 야생동물들의 공격을 받기도 하였습니다. 그럴때마다 사람들은 더욱더 자신들의 울타리나 영역을 강하게 지키기 위해서 노력을 했고, 이러한 방어는 점점 강해지고 넓어지면서 조그만한 마을단위가 생겨나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어느 정도 삶에 안정을 찾아 가면서 인구가 늘어나기 시작했고, 이제는 먹을 것을 구할 시간에 어떻게 하면 좀 더 식량을 잘 저장할 수 있고, 도구들을 어떻게 하면 더 잘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해서 고민을 하고 시간을 투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러면서 사람들 사이에서 개개인의 능력차가 발생하게 되었고, 이들이 점점 시간이 지나면서 전문가가 되었습니다. 이러면서 처음으로 수공업이라는 개념이 생겨 났습니다. 

 

 

이렇게 중동에서부터 아프리카와 아시아를 넘어 유럽까지 이런 생활이 확산되고 한곳에 정착하는 농경사회가 발달하면서 그 이전보다 발전의 속도는 가속화되었습니다. 이때를 가리켜서 사람들은 획기적인 변화라고 해서 신석기 혁명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이러한 신석기 혁명이 모든 인류에 다가가기에는 좀 더 시간이 걸리고 아주 오랜시간이 지나야지 비로소 정착생활이 널리 퍼지게 되었습니다. 이때도 아직까지도 유목생활을 하는 인류가 존재했으며, 심지어 오늘날까지도 여전히 수렵과 채집으로 기본 생활을 이어나가는 민족들이 있는 것을 보면 이런 혁명의 혜택을 받지 못한 사람들은 여전히 존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신석기 혁명을 정리하자면 예전에 돌을 주로 사용하면서 생활하던 석기 시대에서 식량을 직접 생산하고 저장하는 정착 생활을 하기 시작하는 시기로 이때부터 생산경제라는 개념이 생겨났다고 할 수 있으며, 사유재산이 생겨나기 시작한 시점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러한 혁명을 가지고온 한가지 큰 변화는 위에서도 언급했지만 기후의 변화가 큰 요소로 작용하였습니다. 기후의 변화는 농업을 할 수 있는 조건을 만들어 주었으며, 이로인데 사람들이 살아가는데 안정화 되면서 인구도 비약적으로 많이 늘어나기 시작하였습니다 .

 

 

한국에서는 대표적인 신석기 유몰로는 빗살무늬 토기가 있습니다. 지역은 주로 암사동 부근에서 많이 발견되었습니다. 아마 학창시절 국사 교과서에서 이미지도 많이 보고 수업시간에 해당 내용도 많이 들었을 겁니다.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빗살무늬 토기는 주로 밑에서 뾰족한 모양인 브이자형의 모양을 하고 있으며 동근 모양의 빗살무늬 토기도 있습니다. 빗살무늬 토기의 역할은 식량을 확보하고 저장하는데 사용했을 것이라고 추측되어집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