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굴에 벽화를 2만년 전에 그리고 사냥을 하면서 살아가던 사람들은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을 까요?
지구는 약 50억년전에 생겨났다고 추측을 하고 있습니다. 생물이 본격적으로 살기 시작했다는 것은 30억년 전으로 보고 있으며, 인류로 진화를 하는 과정은 약 1,500만년전부터 시작이 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지금의 우리의 모습으로 까지 인류가 진화하기 까지는 수없이 많은 단계를 거쳐서 이루어진 것입니다. 하지만 아직 인류가 발전해 나가는 과정에 대해서 모든 부분에 대해서 의문이 풀린 것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하더라도 수많은 시간과 노력을 거쳐서 많은 학자들이 인류가 진화해온 과정을 거의 대부분 밝혀왔습니다. 이렇게 인류의 많은 부분들을 해석하고 밝힐 수 있었던 것은 아무래도 그동안에 발굴된 사람들의 뼈나 사용했던 연장들이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500만년 전에 이미 오스트랄로피테쿠스라는 최초의 원인이 두발로 걸어 다니는 직립 보행을 시작하였습니다. 이렇게 사지 중에서도 앞부분이 자유롭게 되어 손으로 발전하게 되었고, 그 후에는 300만년 동안 뇌 용량이 엄청나게 발전하였습니다. 이렇게 오스트랄로피테쿠스는 최초의 인류로 진화할 수 있었습니다. 처음에 이들은 돌이나 나무를 가지고 연장을 만들어서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이들은 다른 동물들이 가지고 있는 강한 피부나 손톱 발톱이 없었기 때문에 연장을 만들고 사용하는 방법이 가장 중요했고, 그 중에서도 돌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중요하였기 때문에 이 시대를 석기 시대라고 합니다.
초기 호모 사피엔스라고 불리는 시기까지는 좀 더 긴 진화의 과정이 필요했습니다. 최초의 인간이라고 할 수 있는 대표적인 이뉼가 바로 크로마뇽인인데요. 크로마뇽인이라는 이름은 그들의 뼈가 발견된 프랑스의 서남쪽 한 마을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그륻은 원래는 아프라카 대륙에서 살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지금으로부터 약 4만년 전에 아프라카에서 유럽과 아시아로 이동을 하였고, 또는 시베리아와 알래스카 사이의 육로를 거쳐 북아메리로 이동하였습니다. 최초의 인간은 무리를 지어서 살았으며, 수렵과 채집을 통해서 생존을 이어 갔습니다. 이들은 주로 유목민 생활을 했는데요. 돌아다니다가 동굴이 있으면 동굴에서 생활을 하고 사냥한 동물의 가죽으로 천막을 만들고 간단히 오두막을 지어서 생활 했지만 그 안에서 계속적으로 쭉 살아온 것이 아니라 먹이와 사는 곳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동물들을 따라서 계절에 따라서 이동을 하면서 살아 갔습니다. 이들은 원인들 즉, 오스트랄로피테쿠스들 보다 똑똑했기 때문에 사냥도 훨씬 잘 할 수 있었고, 그들이 사용하는 도구도 점점 더 발전을 시킬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창과 활 같은 것들도 만들게 되었고, 함정을 이용해서 사냥을 하게 되어서 자신들보다 훨씬 큰 몸집의 사냥감들도 잡을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도구를 사용하면서 도구를 만들고 활용하는데 더욱 발전하게 되고 이는 창과 그물을 이용한 고기잡이를 배우게 되었고, 그리고 배를 만드는 것 까지 가능해 졌습니다. 게다가 불을 사용하는 법을 배우고 나서는 고기를 익혀서 먹기 시작했습니다. 이들은 자신들이 가진 기술을 후대에 계속 알려주었고, 그들만의 언어도 가지게 되었습니다. 사실상 아직은 인류가 언제부터 언어를 사용하였는지는 정확히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최초의 인류에게도 집단생활을 위한 위계 질서 및 집단 체제를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언어가 존재 했어야 했을 것입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동물을 사냥하고 열매를 따서 모으는 일에만 집중을 하지 않았고, 이들도 미에 대한 관심이 생기면서 사냥한 동물들의 이빨이나 진두, 조개껍데기 등으로 목걸이나 팔찌 같은 악세서리를 만들게 되었고, 돌을 이용해서 조각까지 하게 되었으며, 뼈와 무기같은 곳에도 무늬를 새기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때부터 인류 최초의 예술작품들이 나왔다고 해도 될 정도입니다. 유럽에서 발견된 동굴 속에 있는 벽화들이나 이때의 예술품들은 왜 만들기 시작했는지는 아직도 의문이긴 하지만 사냥의 성공을 빌거나 신비로운 힘을 믿었기 때문에 그 힘을 얻고자 했던 하나의 의식 같은 것이 아닐까 라는 추측을 할 뿐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부분들은 주술적인 행위로 발전을 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는 그들이 신적인 존재를 믿기 시작했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요. 종교가 이러한 부분에게 나온게 아닐까 라는 추측이 있습니다. 죽을 사람을 매장하고 무덤 속에 여러가지 물건들이 발견되고, 이때 당시의 예술품들을 보게 되면 이를 증명해줍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유명한 예술품은 오스트리아 빌렌도르프의 비너스로 이는 석회석으로 만들어 졌는데 유방과 성기등이 과장되게 표현이 되어서 이때 당시 매우 중요한 출산과 풍요를 기원하는 주술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